예를 들어 수능을 망친 후 바로 취업을 한 사례를 1번, 수능을 망친 후 재수를 한 뒤 명문대에 들어간 케이스를 2번이라고 하였을 때 1번의 기회비용은 명문대 졸업 후 발생할 장기적 이익이 되겠고 2번의 기회비용은 1번이 승진 및 경력 성장을 통한 장기적 이익 즉, 하나를 선택하면 다른 하나의 경우의 최대치 이익이 기회비용인 것까지는 이해를 했습니다. 근데 여기서 수능을 잘 본 후 명문대에 바로 들어가는 케이스를 3번이라 했을 때 3개 이상의 케이스가 주어진 지금 같은 경우에는 각각의 케이스들의 기회비용은 어떻게 되나요? 예를 들어 2번의 기회비용은 1번이 취업 경력이 많으니 돈을 더 잘 벌 수도 있고 3번의 경우에는 명문대라는 이점을 통해 1번보다는 취업 시기가 늦지만 취업을 하고 난 뒤에는 더 잘 벌 수도 있는 것 같고.. 챗gpt한테 물어보니 3개 이상의 케이스일 때는 개인의 가치판단에 의해 1번도 될 수 있고 3번도 될 수 있다고 하니.. 주관적 개념이 들어간다고 하고 요새 ai가 많이 틀리기도 하니 의아해서요.. 케이스가 3개 이상일 때에는 성립이 안 되는 건가요? 확실하게 개념을 잡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ㅠㅠ(제가 제시한 케이스들의 조건만으로 부족하다면 어디가 부족하고 어떻게 고쳐야 하는지도 가르쳐주면 감사하겠습니다!)
안녕하세요!
기회의 비용의 핵심은 제가 포기한 것 중에 가장 차선책이죠
너무 이렇게 장기적으로 디테일하게 활용할 수는 없죠!
1~3번 중 하나를 선택했을 때 2~3번 중 차선책으로 가장 경제적인 선택만 기회 비용으로 볼 뿐입니다
결론적으로 장기적인 추측에 의한 게 아니라 1~3번 중 포기한 것 중 가치가 큰 것을 기회 비용으로 볼 뿐입니다
1번을 선택해서 당장 포기해야 할 선택이 그저 기회 비용이 되는 것일 뿐!
가치를 하나 하나 따지는 것은 아닙니다